안녕하세요! 과학 실험 토론 동아리 3CE (3 Concept of Experiments)입니다.
이번 5월 13일에 저희의 첫 실험인 <소화제에 따른 영양소 검출 실험>이 성공적이게 끝나게 되었고, 저희 실험의 기록을 남기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주제: 소화제의 소화 효과
실험 목표: 1. 약국에 있는 많은 소화제들 중, 가장 효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소화제에 따라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과의 반응을 알 수 있다.
준비물: 달걀 흰자, 녹말, 식용유, 수단3 용액, 베네딕트 용액, 뷰렛 용액 (1% 황산 구리 수용액+5% 수산화나트륨), 여러 종류의 소화제 (까스 활명수, 속시판, 삼메틴, 파자임), 스포이트, 비커, 실험관 등
실험 과정:
시작하기에 앞서, 저희는 먼저 실험의 대조군을 만들어, 각 영양소마다 어떠한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탄수화물 (베네딕트 용액 2-3 방울): 청람색 => 녹말
-단백질 (뷰렛 용액 10방울): 보라색 => 계란 흰자
-지방 (수단 3 용액 6방울): 선홍색 => 식용유
1. 시험관에 일정한 양의 영양소 (녹말, 달걀 흰자, 식용유)를 넣는다.
2. 각 시험관에 실험할 소화제 (까스 활명수, 속시판, 삼메틴, 파자임)를 넣는다.
3. *따뜻한 물이 담긴 비커에 일정한 시간동안 시험관을 넣어 놓는다.
* 이때 소화제가 우리 몸 속에서 소화되기 때문에 따뜻한 물을 사용하였습니다. 즉, 사람의 온도인 약 36.8-37도 정도를 10분간 유지하였습니다.
4.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각 시험관에 맞는 용액 (베네딕트 용액, 뷰렛 용액, 수단 3 용액)을 넣는다.
5. 각 시험관의 색 변화를 관찰한다.
여기까지가 저희의 실험 과정이었습니다! 실험 결과가 궁금하신가요? 밑의 사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ㅎㅎ
색이 많이 변했을수록 소화가 잘 된 것이고, 색이 변하지 않았다면 소화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
-까스 활명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모든 영양소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보입니다.
-속시판: 탄수화물, 지방에서는 색이 변하였지만, 단백질에서는 변하지 않은 걸로 보아 소화가 안 되는 걸로 보입니다.
-삼메틴: 탄수화물과 단백질에서는 변화가 없었지만, 지방은 소화가 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파자임: 역시 단백질은 소화 되지 않았고, 탄수화물과 지방은 소화가 되었습니다.
짧은 결론: 4가지의 소화제들 중에 까스 활명수가 가장 눈에 띄게 변화하였습니다.
밑의 사진들을 마지막으로 오늘의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생긴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안녕하세요! 과학 실험 토론 동아리 3CE (3 Concept of Experiments)입니다.
이번 5월 13일에 저희의 첫 실험인 <소화제에 따른 영양소 검출 실험>이 성공적이게 끝나게 되었고, 저희 실험의 기록을 남기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주제: 소화제의 소화 효과
실험 목표: 1. 약국에 있는 많은 소화제들 중, 가장 효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소화제에 따라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과의 반응을 알 수 있다.
준비물: 달걀 흰자, 녹말, 식용유, 수단3 용액, 베네딕트 용액, 뷰렛 용액 (1% 황산 구리 수용액+5% 수산화나트륨), 여러 종류의 소화제 (까스 활명수, 속시판, 삼메틴, 파자임), 스포이트, 비커, 실험관 등
실험 과정:
시작하기에 앞서, 저희는 먼저 실험의 대조군을 만들어, 각 영양소마다 어떠한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탄수화물 (베네딕트 용액 2-3 방울): 청람색 => 녹말
-단백질 (뷰렛 용액 10방울): 보라색 => 계란 흰자
-지방 (수단 3 용액 6방울): 선홍색 => 식용유
1. 시험관에 일정한 양의 영양소 (녹말, 달걀 흰자, 식용유)를 넣는다.
2. 각 시험관에 실험할 소화제 (까스 활명수, 속시판, 삼메틴, 파자임)를 넣는다.
3. *따뜻한 물이 담긴 비커에 일정한 시간동안 시험관을 넣어 놓는다.
* 이때 소화제가 우리 몸 속에서 소화되기 때문에 따뜻한 물을 사용하였습니다. 즉, 사람의 온도인 약 36.8-37도 정도를 10분간 유지하였습니다.
4.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각 시험관에 맞는 용액 (베네딕트 용액, 뷰렛 용액, 수단 3 용액)을 넣는다.
5. 각 시험관의 색 변화를 관찰한다.
여기까지가 저희의 실험 과정이었습니다! 실험 결과가 궁금하신가요? 밑의 사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ㅎㅎ
색이 많이 변했을수록 소화가 잘 된 것이고, 색이 변하지 않았다면 소화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
-까스 활명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모든 영양소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보입니다.
-속시판: 탄수화물, 지방에서는 색이 변하였지만, 단백질에서는 변하지 않은 걸로 보아 소화가 안 되는 걸로 보입니다.
-삼메틴: 탄수화물과 단백질에서는 변화가 없었지만, 지방은 소화가 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파자임: 역시 단백질은 소화 되지 않았고, 탄수화물과 지방은 소화가 되었습니다.
짧은 결론: 4가지의 소화제들 중에 까스 활명수가 가장 눈에 띄게 변화하였습니다.
밑의 사진들을 마지막으로 오늘의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생긴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ㅎㅎ